초딩코보 루피
close
프로필 사진

초딩코보 루피

github: @denev6

  • All (43)
    • 개발일지 (5)
    • CS (14)
    • Algorithm (23)
    • Daily (0)
      • 일상 (0)
      • 후기 (0)
      • news (0)
  • 홈
  • 태그
  • 방명록

[CS] 대규모 데이터에서 어떤 페이지네이션을 쓸까?[1] (Offset vs Cursor, Page vs Slice)

Spring Data JPA 기준, 페이지네이션에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합니다.크게 Page와 Slice를 비교해볼 수 있어요. 둘 다 Pagable을 객체를 인자로 받아, PageRequest.of(page, size) 와 같은 방식으로 요청할 수 있습니다.정렬 조건도 함께 줄 수 있어요.// PageRequest.of( 페이지 번호, 한 페이지 내 데이터 크기, 정렬 조건)Pageable pageable = PageRequest.of(0, 10, Sort.by("createdAt").descending()); Page전체 개수와 페이지 수까지 함께 조회하는 방식.A page is a sublist of a list of objects. It allows gain information about the ..

  • format_list_bulleted CS
  • · 2025. 8. 25.

[DBMS] Indexing 인덱싱

CHAPTER 14 인덱싱1. 기본 개념 (Basic Concepts)인덱스(Index) 역할책의 색인과 유사: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기 위한 “검색 가속” 구조테이블 전체를 모두 읽지 않고도 필요한 레코드를 찾아갈 수 있음인덱스 필요성대규모 데이터를 전부 탐색(Full Scan)하지 않고 원하는 정보만 효율적으로 조회예) 특정 학생의 레코드만 조회할 때, 인덱스를 통해 빠른 접근 가능단순 정렬 리스트의 한계인덱스 자체가 커질 수 있고, 검색 시간도 여전히 오래 걸릴 수 있음삽입·삭제 시 재정렬 등의 유지 비용이 매우 큼인덱스의 기본 형태순서 인덱스(Ordered Indices)데이터 값을 정렬된 순서로 유지범위 검색(Range Query)에 유리해시 인덱스(Hash Indices)해시 함수를 통해 데..

  • format_list_bulleted CS
  • · 2025. 4. 13.

[DBMS] Introduction to SQL

Introduction to SQL1. Overview of the SQL Query Language역사와 발전 IBM의 System R 프로젝트에서 Sequel로 시작ANSI/ISO 표준: SQL-86, SQL-89, SQL-92, SQL:1999, SQL:2003, SQL:2006, SQL:2008 등SQL의 구성 요소 `DDL: 테이블, 스키마, 무결성 제약, 인덱스, 보안 및 물리적 저장구조 정의 DML: 데이터 검색, 삽입, 삭제, 갱신 기타: 트랜잭션 제어, 뷰 정의, 임베디드/동적 SQL, 권한 부여2. SQL Data Definition테이블 생성 및 스키마 정의 CREATE TABLE 명령으로 테이블 생성 각 속성은 자료형과 선택적 제약조건을 가짐 예시:create table..

  • format_list_bulleted CS
  • · 2025. 3. 10.

[CS] ICMP: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ICMP: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인터넷에서 호스트와 라우터가 서로 네트워크 계층 정보를 교환할 때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가 사용됩니다.ICMP는 네트워크 오류 보고, 진단 및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RFC 792에 정의되어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ICMP의 개념, 동작 원리, 주요 메시지 유형 및 Traceroute와의 관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ICMP란?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네트워크 문제를 감지하고 보고하는 프로토콜입니다.일반적으로 라우터와 호스트가 네트워크 오류를 알리거..

  • format_list_bulleted CS
  • · 2025. 2. 8.

[CS] TCP 혼잡 제어(TCP Congestion Control)

TCP 혼잡 제어(TCP Congestion Control)인터넷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 시 네트워크의 혼잡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여러 장치가 동시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상황에서는 네트워크 혼잡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이때 TCP 혼잡 제어(TCP Congestion Control) 메커니즘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TCP 혼잡 제어의 개념, 동작 원리, 주요 알고리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TCP 혼잡 제어란?TCP 혼잡 제어(Congestion Control) 는 네트워크의 혼잡 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를 조절하여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메커니즘입니다.✅ TCP 혼잡 제어의 필요성네트워크 과부하 방지: 과도한 트래픽으로 인한..

  • format_list_bulleted CS
  • · 2025. 2. 1.

[CS]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Reliable Data Transfer)

IP와 TCPIP(Internet Protocol)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본 프로토콜데이터를 작은 조각인 패킷으로 나누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특징:비신뢰적(Unreliable):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순서가 뒤바뀔 수 있다.최선의 노력(Best-Effort): 데이터를 가능한 빨리 전송하지만, 성공 보장 X.경로 설정: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달할 최적 경로를 찾음.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P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신뢰적인 데이터 전송 서비스 제공특징:데이터 손실 방지: 손실된 데이터를 재전송합니다.데이터 순서 보장: 원래 순서대로 데이터를 정렬합니다.무결성 확인: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예를 들면,IP가 배달원이라면 TCP는 매니저 역할이다...

  • format_list_bulleted CS
  • · 2025. 1. 17.
  • navigate_before
  • 1
  • 2
  • 3
  • navigate_next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All (43)
    • 개발일지 (5)
    • CS (14)
    • Algorithm (23)
    • Daily (0)
      • 일상 (0)
      • 후기 (0)
      • news (0)
인기 글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Copyright © Ruppi 모든 권리 보유.
SKIN: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and Current skin "dev-roo" is modified by Jin.

티스토리툴바